우리는 현재 컴퓨터와 스마트폰등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눈이 혹사되는 환경에 살고 있습니다. 회사 업무를 보거나 취미생활을 할 때에도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전자기기를 사용하며 눈이 피로해질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눈의 피로함이 계속되면 시야가 흐려지거나 눈꺼풀이 무거워지고 나중에는 통증까지 느껴지기도 합니다. 또한 혹사한 눈으로 인하여 VDT증후군이나 안구건조증 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 마음대로 쉴 수 없는 세상에서 눈의 피로를 조금이라도 풀어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오늘은 눈의 피로을 케어할 수 있는 방법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눈도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 위아래를 보듯이 눈알을 움직이고 오른쪽 왼쪽으로도 움직여봅시다. 이러한 스트레칭으로 눈 주위의 근육이 부드러워질 수 있습니다.
평소에도 한곳에 집중하는 시간이 길다면 의식적으로 눈동자를 움직이면서 눈 주위의 근육을 풀어주도록 합시다. 눈의 피로가 심하다면 자기 전에 따뜻한 수건을 눈 위에 올려 따뜻하게 해주면서 스트레칭을 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2. 눈을 깜빡일 필요가 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오래 보다보면 집중하느라 평소보다 눈의 깜빡임이 적어지게되고 이는 안구를 건조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눈을 깜빡여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눈이 피로할때는 눈을 길게 감았다 떠주고 틈날때마다 빠르게 여러번 감았다 떳다를 반복해주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3. 먼 곳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스마트폰, 모니터, 서류 등에만 촛점을 맞추게 되면 눈의 피로가 커지고 시력도 나빠질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내어서 먼 거리를 바라보거나 하늘을 올려다보는 등 먼 거리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야외로 나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벽에 걸린 시계나 달력 같은 조금이라도 거리가 있는 곳으로 촛점을 돌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근처와 먼곳을 번갈아가며 보는 것도 눈의 스트레칭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4. 에어컨의 풍향을 조절하자
만약 에어컨의 바람이 직접적으로 눈에 닿는 상황이라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에어컨이 너무 세거나 바람이 눈을 향하고 있다면 피해가도록 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자주 눈이 피로하고 뻑뻑함이 느껴진다면 책상에 작은 미니가습기를 준비하는것도 좋습니다.
5.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사용한다.
업무를 보는 등 반드시 오랜시간 모니터를 봐야 하는 상황이라면 블루라이트 안경을 사용하는것이 굉장히 큰 도움이 됩니다. 사용 전/후 가장 큰 차이를 느낄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눈의 피로가 많이 줄어들고 눈부심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안경 뿐만 아니라 콘텍트렌즈에도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6. 눈을 따뜻하게 해주자
피로한 눈을 따듯하게 해주는 것으로 눈의 피로가 해소되기도 합니다. 따뜻한 물에 수건을 적셔서 데워주면 좋은데 여건이 허락하지않을 경우 수건을 물에 적셔서 전자렌지에 30초 정도 돌리면 간편하고 따뜻한 수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무실 같은 곳에서 손수건을 준비해서 틈날때마다 물수건을 데워 눈에 얹고 3분 정도만 휴식을 취해주어도 굉장히 피로가 풀리게 됩니다.
7. 눈에 좋은 음식을 먹자
눈의 피로에는 블루베리가 좋다고 하는데 간식으로 블루베리를 자주 먹어주는 것도 좋다고 하네요 또한 브로콜리나 시금치 같은 채소와 DHA가 함유된 참치도 눈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다른 음식 보다는 이렇게 눈에 좋은 음식을 의식적으로 챙겨먹으면 도움이 될 거에요
8. PC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낮추자
너무 밝은 디스플레이를 쓰면 눈이 쉽게 피로해집니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가장 적절한 밝기는 그 환경에서 종이를 봤을때 느껴지는 밝기 정도가 적당합니다. 또한 화면에 햇빛이나 조명이 반사되는 것도 눈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만약 빛 반사가 있다면 반드시 화면 각도를 조정해서 반사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화면과 눈의 거리는 30~40cm 정도는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글자 크기를 크게 해서 눈이 집중하지 않아도 되도록 조정해주세요.
만약, 이미 눈이 뻑뻑하고 건조한 상태라면 가까운 약국에서 안약을 구매해서 자주 자주 안약을 넣어주고 위의 내용으로 계속해서 눈을 관리해줄수 있도록 합시다. 눈이 건조한 상태라면 계속해서 좋지 않기 때문에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청소 꼭 필요할까? 귀청소의 위험성 (0) | 2020.08.18 |
---|---|
숙취해소에 좋은 음식, 숙취해소음식 (0) | 2020.08.18 |
아기녹변 괜찮은걸까? 아기 녹색 변의 원인은? (0) | 2020.08.17 |
배에 가스 차는 이유? 배에 가스 빼는법 (0) | 2020.08.17 |
화장실 못갈때 똥참는법, 오줌참는법 (0) | 2020.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