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아기녹변 괜찮은걸까? 아기 녹색 변의 원인은?

by 어니부기 2020. 8. 17.
반응형

아기녹변 원인이뭐지?



아기의 변을 보면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고 하죠 매일 기저귀를 갈아주면서 아기의 변을 관찰하면 건강상태를 미리 체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아기의 변 색깔이 녹색일때가 있습니다. 혹시나 아기가 아픈건 아닐지 놀라고 당황스러울 수 있는데요 아기의 녹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건강한 아기의 변은 황색입니다. 이유식이 시작 되기 전에는 담즙의 색이 그대로 변에 남기 때문에 밝은 노란색이라면 문제가 없습니다. 모유수유를 한다면 분유를 먹인 아기보다는 약간 더 누르스름 할 수 있습니다. 하얀 알갱이가 섞여있더라도 지방이나 칼슘이 소화되지 않고 나온것이라 건강에는 문제가 없는 정상적인 상태입니다. 


일반적인 아기의 변은 이런 색


그런데 아기의 변이 평소와 다르게 녹색이 되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먼저 아기의 변은 분유, 모유에 따라서 그리고 장내에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서도 색이 바뀔 수 있습니다. 녹색 변의 경우에도 그 중 하나입니다. 

변이 녹색이 되는 이유는 장 속에서 변이 공기와 섞여 산화하는 경우나 평소보다 변의 횟수가 작을때, 모유나 분유를 많이 먹었을때 생기기도 합니다. 

평소보다 모유나 분유를 많이 먹게되면 그 과정에서 공기를 많이 삼키기 때문에 변의 색이 녹색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장 내 비피더스균, 유산균, 대장균 등의 세균 변화나 산성도 차이로 녹색이 되기도 합니다. 


녹색 변은 이런 색깔



모유 수유를 하는 경우 분유를 먹는 아기보다 유당이 유산균의 생성을 활발하게 돕기 때문에 변이 산성이되어 녹색이 되기 쉽습니다. 변이 녹색이고 새콤한 향이 난다면 이러한 이유로 녹변이 나온것입니다. 


아기의 변은 시큼한 냄새가 납니다. 이는 비피더스균 등의 유익균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아기의 장 내에는 유익균 밖에 없기 때문에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균들이 없어 냄새가 지독하지 않습니다. 또한 모유나 분유에는 비피더스균이나 올리고당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유식을 먹기 시작하면 음식으로부터 다양한 균이 유입되기 때문에 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지독한 냄새가 나지 않는 녹변을 봤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 정상적인 상태입니다. 하지만 만약 지독한 냄새가 나고 녹변이 계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아기도 변비가 있다? 

어른처럼 아기들도 변의 횟수나 굳기등에 개인차가 있습니다. 2~3일 동안 변이 나오지 않아도 태연한 아이도 있고 기분이 나빠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여기서 아기 변비의 판단 기준은 몇일동안 변을 못 보았냐가 아니라 아기가 기분이 좋은지, 아닌지가 더 중요합니다. 만약 아기가 변을 보지 못한 상태에서 컨디션이 좋지 않고 계속 울면서 아파하면 변비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혹은 변을 보더라도 변을 볼 때마다 아파하면 변비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아기 변비 해소를 위해서는 수분 보충이 가장 먼저 필요합니다. 

생후 4개월까지의 아기들에게는 물이나 아주 약간의 설탕을 탄 설탕물을 줘서 수분을 보충하도록 합시다. 

생후 5~6개월의 아기는 이유식을 시작 했다면 사과나 감귤계의 과일이 좋다고 합니다. 과일에는 과당과 펙틴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있고 이 성분들이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과일의 식이섬유로 장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사지도 효과적입니다. 

엄마가 아이를 눕힌 상태에서 배를 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듯이 살살 문질러주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너무 오래 누워만 있었던 아기는 잠시 안아서 서있는 자세를 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장이 자극되어서 변비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사지나 체조등을 시킬때에는 반드시 공복 상태에서 아기의 기분이 좋을때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분유나 이유식을 먹은 상태에서 자극을 시키면 구역질을 할 수 있으니 절대 금물입니다. 


만약 아기가 계속해서 울며 아파하거나 배가 부풀어 오르면서 토할때 그리고 5일 이상 변을 보지 못하는 것 같을때는 반드시 병원에 데려가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